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빛의 국면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전  시 명 : 빛의 국면 Phase of light
전시 작가 : 도윤희, 박주연, 이진원, 정보영, 정정주, 홍범, 황선태
전시 기간 : 2018년 5월 26일(토) ~ 2018년 7월 22일(일)

빛의 국면

빛은 가시적 세계의 근원이다. 비물질인 빛은 물질 세계를 인식할 수 있게 해준다. 빛이 있어서 우리는 사물을 볼 수 있고 색을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빛은 오랫동안 서양의 미술사의 핵심이 되었다. 빛의 음영과 그림자로 사물의 양감을 표현함으로써 2차원의 평면에 3차원의 환영의 공간을 구현해 내면서 르네상스 이후 인상주의에 이르기까지 서양미술의 역사는 빛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미술에서 빛의 사용은 이러한 가시적인 세계를 표현하는 것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었다. 빛은 고대로부터 신성과 동일시되고 신의 현시를 상징하는 매개로 이해되는가 하면 상징적, 종교적, 철학적 의미를 전달하는 매체로 사용되기도 했다.

현대미술기술이 발달하면서 사진과 영화가 등장하고 초고속으로 현대 과학기술과 전자기술이 발달 함에 따라 그것을 적극 수용하는 작가들이 늘어나게 되었고 빛과 조명을 사용한 다양한 현대미술의 실험은 빛을 더욱 적극적으로 미술작품 안에 끌어들이게 되었다. 빛은 그 자체로 매체적 가능성으로서 고려되기 시작한 것이다.
≪빛의 국면≫ 전시에 참여하는 작가들은 빛을 적극적으로 작품에 이용하는 작가들이다. 하지만 그것을 매체 자체로 사용하거나 고전적인 방식의 재현의 도구로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인간의 지각 방식과 감각의 확장을 통해 빛이 보여주지 못하는 것을 보려고 하고 그 이면에 감추어져 있는 것을 찾아내고자 하며 빛을 통해 인간 존재 자체에 대한 철학적 고민을 담고 있기도 하다.

21세기를 사는 우리의 생활을 지배하는 것은 자연의 빛 보다는 인공 빛이라고 할 수 있다. 매일 들여다 보는 스마트폰의 액정, 컴퓨터와 TV모니터, 실내를 밝혀주는 조명과 자동차의 조명 등 수 없이 많은 인공 빛에 우리는 둘러 쌓여 살고 있다. 그러한 빛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세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예술은 항상 우리가 현실을 살고 이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빛의 국면≫은 빛이 밝혀주는 것만을 볼 것이 아니라 빛이 없는 곳에서도 모든 감각을 동원해 세상을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을, 너무 밝은 빛의 중심에서는 주변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박주연, 여름빛, 2008-2012, 8미리 필름 비디오 전환, 반복 재생, 가변 설치



도윤희,무제, 300x200cm, 캔버스에 유채, 2015



정보영, Blue hour, 2016, 캔버스에 유채, 91x72.7cm



이진원, 무제, 2017, 캔버스에 아크릴, 146x112cm



정정주, Curved Passage, 2017, 3D 애니메이션, 액자화된 55인치 모니터



홍범, 스러지는 빛들, 2016, 영상설치



황선태, 화분이 있는 방, 2015, 강화유리에 샌딩, 유리전사, LED, 220x69x4cm



도윤희

도윤희는 현재 서울과 베를린에 거주하며 작업하고 있다. 성신여자대학교 서양화과에서 학사와•석사 학위를 받았다. 동대학원에서 판화 연구 과정을 이수 하였으며 시카고일리노이주립대학교에서 객원연구원을 지냈다. 1985년 첫 개인전 이후 갤러리 현대(서울, 2015/2011), 몽인아트센터(서울, 2008), 갤러리 바이엘러(바젤, 2007)등에서 17번의 개인전을 개최하였다. 국립현대미술관(서울), 서울시립미술관(서울), 르 그랑 자댱 미술관(주앙빌) 등 국내외 유수의 미술관의 기획전에 초대되었다.


박주연 

박주연은 서울과 런던에서 거주 활동하고 있다. <O>(카파토스 갤러리, 아테네, 그리스, 2015), <에코의 에코 I, II> (두산갤러리뉴욕/서울, 미국, 2013) , <여름빛>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서울, 한국) 등의 개인전을 가졌고 <달은, 차고, 이지러진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 <당신의 밝은 미래> (로스엔젤레스 카운티 뮤지움 오브 아트/뮤지움 오브 파인아트 휴스턴, 미국), <광주비엔날레: 연례보고> (광주, 한국) 등 국내 외 다수의 기획전에 초대되었다. 아티스트 북『에코의 에코 』(두산갤러리서울 + 미디어버스)와 『행인』 (한국문화예술위워회 인사미술공간)을 발행했고 헨리모어 인스티튜트 펠로우십 (리즈, 영국), 카파토스 아테네 아트 레지던시 (아테네, 그리스), 플랫폼 가란티 컨템포러리 아트 센터 ( 이스탄불, 터키), 아키요시다이 인터내셔널 아트 빌리지(아키요시다이, 일본) 등의 레지던시와 펠로우십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이진원

이진원은 홍익대학교 동양화과와 동대학원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관훈미술관(서울), 갤러리 도올(서울), 목인갤러리(서울), 갤러리OMS(뉴욕), 갤러리담(서울)등 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으며 메이크샵 아트 스페이스(서울), 갤러리 누크(서울), 신세계갤러리(서울, 광주), 마로니에미술관(현, 아르코미술관, 서울) 등에 초대되어 기획전에 참여하였다. 경기도 미술관과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정보영

홍익대학교 회화과에서 학사 및 석사과정을 마치고 미술학과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2016년 갤러리 미고, 2015년 이화익갤러리를 비롯하여 17번의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1996년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다수의 기획전에 꾸준히 참여해왔다. 서울시립미술관, 경기도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송은문화재단 등에 작품이 소장 되어있으며,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포함하여 다수의 강의 경력을 지니고 있다.


정정주

정정주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를 졸업한 후 독일로 건너가 쿤스트아카데미 뒤셀도르프를 졸업했으며 국민대학교 대학원에서 미술학 박사를 취득했다. 2002년부터 서울, 일본, 중국, 벨기에 등에서 15회의 개인전을 개최하였고, 미래는 지금이다(국립현대미술관, 과천), Thermocline of Art(독일ZKM)외 다수의 국내외 단체전 참여했다. 2010년 김종영 미술상, 2003년 광주 신세계미술상을 수상하였고 2009년 금천예술공장, 2006년 국립고양미술 창작스튜디오, 2003년 쌈지스페이스 레지던시에 참여하였다. 현재 성신여자대학교 미술대학에 재직 중이다


홍범

홍범은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를 졸업하고 뉴욕 스쿨 오브 비주얼 아트에서 컴퓨터 아트와 사진 영상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최근 수원시립아이파크 미술관에서 개인전 <미술관의 이면>(2017)을 개최했으며 파라다이스 ZIP(서울, 2016), 안도 파인아트(베를린, 2010), 사루비아 다방(서울, 2007)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다. 서울과 뉴욕을 오가며 국내외 미술기관의 다양한 기획전에 초대되었다. 몽인 레지던시(서울), 천링후이 현대 아트 레지던시(베이징), 아이파크 레지던시(코네티컷), 비머스 아트 센터 레지던시(네브라스카) 등에 참여하였다. 현재 뉴욕에 거주 중이다.


황선태

황선태는 경희대학교 미술교육과를 졸업하고 독일의 할레 북 기비센슈타인 미술대학에서 AUFBAUSTUDIUM 및 DIPLOM을 취득했다. 독일 시립 요한-프리드리히-단나일 미술관과 바이세스 하우스에서의 2006년 개인전을 시작으로 최근 2017년 국내의 아트사이드 갤러리까지16개의 개인전을 국내외에서 개최했으며,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해왔다. 2005년 독일 뢰벤호프 예술포럼 공모전과 MERSEBURGER KUNSTPREIS 에서 대상을 받았으며 독일의 VPV-LAMICH KG 및 라이너쿤체 재단, 국내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과천)에서 작품을 소장 중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