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Paroles, Paroles 공허한 말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Youngtaek Park 박영택 | Paroles, Paroles 공허한 말 
The contemplative Language of Art by Art Critic Youngtaek Park
박영택 미술평론가의 사유하는 예술의 언어


전시 기간: 2024 년 11월 9일- 11월 30일
전시 장소: 2GIL29 GALLERY 이길이구 갤러리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58 길 35 이길이구 빌딩, 신사동)
문의 전화: 전시 기획실 02-6203-2015
관람 시간: 오전 10 시-저녁 7 시 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일요일, 월요일, 공휴일 휴관)

Instagram: @2gil29gallery_official
Kakao channel: 2gil29gallery
Email: info@2gil29gallery.com
sales@2gil29gallery.com



박영택 | 공허한 말 

박영택 미술평론가의 사유하는 예술의 언어

이길이구 갤러리는 2024년 11월 9일부터 11월 30일까지 박영택 미술평론가의 고미술 컬렉션을 선보이는 특별 전시 《Paroles, Paroles 공허한 말》을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고미술품을 통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새롭게 조명하며, 예술이 시간 속에서도 진정성을 잃지 않고 지속되는 과정을 탐구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Paroles, Paroles》는 프랑스어로 “말, 말”을 의미하며, 말의 공허함과 달리 예술이 전달하는 깊은 의미와 진솔함을 강조합니다. 박영택 평론가가 수십 년 동안 수집한 고미술품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삼국시대의 토기부터 조선시대 문인들의 글과 서민들의 일상 용품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의 역사적 흔적과 미학적 깊이를 담고 있습니다. 

박영택 평론가는 “오랜 세월 살아남아 내게 온 것들에 귀 기울이다”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유물 하나하나의 고유한 이야기를 존중하고 그 가치를 발견해 왔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그가 직접발로 뛰며 모은 150여 점의 고미술품이 전시되며, 이들 유물이 지닌 역사적 의미와 예술적 진정성을 관객들에게 전달할 것입니다. 또한, 그가 현대미술계에 몸담은 30 년 동안 모아 온 동시대의 미술작품들도 함께 선보여 그의 독창적인 시각을 반영한 현대미술 컬렉션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주요 작품으로는 삼국시대의 토기, 고려시대의 청자, 조선시대의 백자와 서화, 민화 그리고 당시 생활용품 등이 있습니다. 삼국시대의 토기는 당시 사람들의 생활 양식과 종교적 의식을 반영하는 중요한 유물로, 실용성과 함께 시대적 상징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고려청자는 고유의 비색과 정교한 문양으로 고려 시대 도자기의 미학적 정수를 보여주며, 조선 백자는 단순하고 소박한 미학을 통해 유교적 사상과 서민적 감각을 드러냅니다. 또한, 조선시대의 문인화와 서예 작품들은 자연과 철학을 주제로 하여 당대의 깊은 사유와 예술적 성찰을 담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서민들이 사용하던 옹기, 떡살, 실패, 각 종 목기 등 조선시대 생활 용품과 주칠 목기 등은 당대 서민들의 일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들이 등장합니다.

이번 전시는 고미술품이 단순한 유물이 아니라, 역사의 흐름 속에서 살아 숨 쉬며 지속되는 예술적 유산임을 일깨워줍니다.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유물들은 각 시대의 문화를 반영하며, 시간이 흘러도 그 본질적 가치를 잃지 않고 지속되는 예술의 힘을 보여줍니다. 박영택 미술평론가가 수집한 고미술품들은 예술이 말 없이도 전달하는 깊은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관객들은 이번 전시를 통해 시간을 초월한 예술의 진정성을 체험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얻게 될 것입니다.

또한, 그의 독창적인 시각으로 선별된 현대미술 작품들도 함께 소개되어, 박영택 평론가의 예술적 통찰력과 감식안이 반영된 다채로운 현대미술 컬렉션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2GIL29 GALLERY is pleased to present a special exhibition, 'Paroles, Paroles: Empty Words,' showcasing the antique collection of esteemed art critic Youngtaek Park, from November 9 to November 30, 2024. This exhibition provides a unique opportunity to explore Korean history and culture through a diverse array of artifact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Joseon Dynasty, examining how art retains its authenticity over time.

'Paroles, Paroles,' meaning “words, words” in French, highlights the contrast between the emptiness of spoken words and the profound meaning conveyed through art. Park’s collection, built over several decades, includes items such as earthenware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calligraphy from Joseon scholars, and everyday objects used by commoners, each encapsulating historical traces and aesthetic depth.

Guided by his philosophy of 'listening to the artifacts that have survived through time,' Park has meticulously collected pieces, respecting the unique story each item holds. This exhibition features over 150 antique items he has carefully selected over the years, conveying both historical significance and artistic authenticity. Additionally, visitors will have the rare opportunity to view Park’s collection of contemporary artworks, curated over his 30-year career in the art world, reflecting his discerning perspective.

Key highlights of the exhibition include earthenware from the Three Kingdoms, Goryeo celadon with its distinctive jade-green glaze and intricate designs, Joseon white porcelain, and literary works from Joseon scholars, as well as folk paintings and daily-use items from the Joseon era, such as Onggi (earthenware), rice cake molds, spools, and various types of woodenware. These artifacts offer valuable insights into the everyday life and culture of the past, showcasing both practicality and beauty.

This exhibition reminds us that these artifacts are more than mere relics; they are living legacies that continue to breathe within the flow of history. The wide range of items from the Three Kingdoms to the Joseon Dynasty reflects each era's unique culture and demonstrates art’s enduring strength in maintaining its intrinsic value across generations.

Youngtaek Park’s collection conveys powerful messages without words, inviting viewers to experience the timeless sincerity of art. Additionally, his carefully curated selection of contemporary artworks offers an insightful look into Park’s artistic vision, providing an enriching perspective on both historical and modern art.



박영택 (朴榮澤) B.1963

박영택 미술평론가는 30여 년간 미술계에서 활동해 온 저명한 미술평론가이자 교육자입니다. 10여 년간 금호미술관에서 큐레이터로 근무하며 경력을 쌓았고, 1999년부터 현재까지 경기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 현대미술, 작품 분석, 전시 기획 및 분석 등을 강의하며 미술 교육에 헌신하고 있습니다. 그는 1991년 미술평론을 시작한 이후 다수의 전시 리뷰와 서문, 칼럼 등을 집필했으며, 현재까지 약 60 여 개의 전시를 기획했습니다. 제 2 회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큐레이터, 아시아프 전시 총감독, 강정 대구현대미술제 총감독, 여수국제아트페스티벌 전시감독, 대구예술발전소 개관 기념전 전시감독 등 다양한 전시와 비엔날레에서 큐레이터와 감독으로 활약했습니다.

박 평론가는 『예술가로 산다는 것』( 2001), 『식물성의 사유』(2003), 『애도하는 미술』 (2014), 『한국현대미술의 지형도』(2014), 『민화의 맛』( 2019), 『앤티크 수집 미학』 (2019), 『삼국시대 토기잔의 아름다움』 (2022), 『오직, 그림』 (2004) 등 총 24권의 저서와 6권의 공저를 출간했습니다. 또한, 「박정희 시대의 문화와 미술」, 「송현숙의 서체적 추상회화 분석」, 「오인환의 나의 아름다운 빨래방 사루비아 작품에 나타난 관객참여와 정체성에 관한 연구」 등 총 25 편의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박영택 평론가는 고미술품 수집가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이길이구 갤러리에서 자신이 소장한 고미술품을 소개하는 소장품전을 네 번째로 개최하고 있습니다. 그는 수년 전 가야 토기잔에 매료된 것을 계기로 손잡이가 달린 토기잔, 떡살, 작은 고연장을 모으기 시작했으며, 현재 수백여 점의 고미술품을 소장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현대미술평론가로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그는 고미술에 대한 깊은안목과 식견 등 애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집의 행위를 거창한 의미나 계획으로 엮지 않고, 오로지 아름다움에 대한 순수한 애정으로 고미술품을 모아왔습니다. 그는 수집한 작품들을 조용히 감상하며, 자신만의 방식으로 그 아름다움을 음미하고자 합니다. 방 한 켠에 고이 모셔진 작품들이 잊혀지기에는 아까운 마음에, 언젠가 이들 하나하나의 깊은 이야기를 담은 책을 써내려가고자 합니다. 박물관을 세우거나 대대적인 공개를 꿈꾸기보다는, 작품들이 가진 본연의 가치를 은은히 즐기기를 바라는 그의 마음은 마치 작은 갤러리처럼 꾸민 연구실 속에서 고요히 항상 반짝이고 있습니다. 그는 때로는 작품들이 방 안에 머무는 모습 자체를 사랑하며, 언젠가 적절한 시기가 온다면 박물관이나 재단에 기증할 수도 있겠지만, 그것은 먼 훗날의 일이라 생각합니다. 가치를 따지지 않고 오직 예술의 순수한 형태에 감동하며 살아가는 진정한 수집가로서, 그는 오늘도 자신의 연구실에서 미술품들이 가진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렇게 그만의 시선을 통해 수집한 그의 컬렉션을 볼 수 있는 설레이는 전시 입니다.

많은 성원을 부탁드리며 현재도 그는 국립현대미술관 운영자문위원, 세화문화재단 이사, 아트페어 평가위원, 정부 미술품 운영위원 등으로 활발히 활동하며, 한국 미술계에 지속적인 기여를 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Youngtaek Park B.1963

Youngtaek Park is a distinguished art critic and educator with over 30 years of experience in the art world. Having built his career over a decade as a curator at the Kumho Museum of Art, he has served as a professor at Kyonggi University since 1999. His academic focus includes Korean contemporary art, artwork analysis, exhibition planning, and critique, and he remains deeply committed to art education. Since beginning his art criticism journey in 1991, Park has authored numerous exhibition reviews, forewords, and columns, and has curated around 60 exhibitions. His roles have included curator for the special exhibition at the 2nd Gwangju Biennale, director of ASYAAF (Asian Students and Young Artists Art Festival), and chief director for the Gangjeong Daegu Contemporary Art Festival, Yeosu International Art Festival, and the opening exhibition at Daegu Art Factory.

Park has published 24 books and 6 co-authored volumes,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the discourse on art and culture in Korea. His notable works include Living as an Artist (2001), Thoughts of Plant Nature (2003), Art of Mourning (2014), The Landscape of Korean Contemporary Art (2014), The Taste of Minhwa (2019), Aesthetics of Antique Collecting (2019), The Beauty of Pottery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2022), and Only, Art (2004). In addition, he has published 25 academic papers, including topics such as 'Culture and Art during the Park Chung-hee Era,' 'An Analysis of Song Hyun-sook’s Calligraphic Abstract Painting,' and 'Audience Participation and Identity in Oh In-hwan's My Beautiful Laundromat at Sarubia Art Space.'

Beyond his work in contemporary art, Park is also well known as a passionate collector of Korean antiques. Currently, he is presenting his fourth private collection exhibition at 2GIL29 GALLERY, showcasing his personally curated selection of historical artifacts. His fascination with Gaya pottery led him to collect unique pieces like handled pottery cups, rice cake molds, and small grinding stones, amassing a collection of hundreds of antique pieces. While he is an active and respected critic in contemporary art, his discerning eye and profound appreciation for Korean antiques reveal his deep understanding and love for historical art.

For Park, collecting is an act rooted in a pure love of beauty rather than any grand ambition or plan. He values quiet contemplation of his collection, savoring each piece in his own personal way. The thought of these treasures simply gathering dust in his study has inspired him to one day compile a book that captures the stories behind each work.

Rather than building a museum or planning large-scale public displays, Park finds fulfillment in the quiet enjoyment of his collection’s inherent beauty within the small, gallery-like setting of his study. He speaks of the pleasure he finds in simply keeping these pieces close, and while he acknowledges the possibility of donating his collection to a museum or foundation someday, he views this as a distant prospect rather than an immediate goal.

Park’s approach, focusing on the artistic purity of each piece without regard to its financial value, exemplifies the spirit of a true collector. Through this exhibition, visitors have the rare opportunity to experience Park’s curated collection—a reflection of his unique vision and dedicated pursuit of beauty.

Currently, Park serves as an advisor to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 director at the Sehwa Cultural Foundation, a committee member for art fair evaluations, and a board member for government art asset management. His ongoing contributions continue to leave a lasting impact on the Korean art community, and he invites audiences to share in the quiet resonance of his carefully curated collection at this special exhibition.




삼국시대 양이 토기 (약 기원전 57 년~기원후 668 년)Three Dynasty Period Earthenware (pottery) © 2GIL29 GALLERY

삼국시대의 양이 토기는 당시 사람들의 일상 생활과 의식을 반영하는 중요한 유물 중 하나입니다.‘양이(壺)’는 물이나 곡식을 담기 위해 사용되던 항아리 형태의 그릇으로, 삼국시대의 흑색 경질 토기로 제작된 것이 많습니다. 이 토기는 단단한 회청색의 표면을 가지며, 높은 온도에서 구워졌기 때문에 강도가 높습니다. 양이 토기의 독특한 형태와 손잡이는 실용성을 강조하면서도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담고 있어, 당시 사람들의 미적 감각과 제작 기술을 엿볼 수 있습니다. 손잡이가 달려 있는 점은 운반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함이며, 각기 다른 문양과 형태는 제작자의 개성과 지역적 특성을 반영합니다.



삼국시대(약 기원전 57 년~기원후 668 년)의 토기잔© 2GIL29 GALLERY


삼국시대(약 기원전 57 년~기원후 668 년)의 토기잔© 2GIL29 GALLERY


삼국시대(약 기원전 57 년~기원후 668 년)의 토기잔© 2GIL29 GALLERY

가야와 신라 시대는 삼국시대에 포함되며, 삼국시대는 한반도와 그 주변 지역에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세 나라가 공존했던 시기(약 기원전 1 세기부터 기원후 7 세기)를 가리킵니다. 비록 가야는 삼국과는 별개의 연맹체였지만, 이 시기와 문화적으로 깊이 연관되어 삼국시대의 역사와 문화적 맥락 속에서 함께 논의됩니다.

박영택 미술평론가이자 컬렉터는 가야와 신라 시대의 손잡이잔을 현대 조각이나 오브제처럼 감상하고 수집해 왔습니다. 그는 손잡이잔의 기형, 구연부, 손잡이, 문양, 색채라는 다섯 가지 키워드를 통해 그 조형성과 매력을 탐구하며, 손잡이잔이 지닌 독특한 품격에 깊이 매료되었음을 전합니다. 가야와 신라 시대의 손잡이잔은 흑색 경질토기로 높은 온도에서 구워져 강한 회청색을 띠며 단단함이 특징입니다. 이 손잡이잔은 단순한 용도를 넘어, 조형적인 가치와 미학적 요소를 지니고 있어 당시 사람들의 미적 감각과 세계관을 엿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박영택 평론가는 손잡이의 독특한 곡선과 강렬한 존재감, 그리고 강인한 물질성에서 발산되는 에너지를 강조하며, 그 속에서 한국미의 정수를 발견한다고 말합니다.



조선시대 백자 제기잔 1392 년부터 1897 년까지 약 500 년 사이 추정 © 2GIL29 GALLERY

조선 시대 백자 제기잔의 제작 시기는 대체로 16 세기 중반부터 19 세기 후반까지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이러한 단순하고 실용적인 형태의 백자 제기잔은 조선 중기에서 후기에 걸쳐 많이 제작되었습니다.

제작 연대를 구체적으로 특정하기는 어렵지만, 이 시기에 조선 왕실과 사대부 사이에서 제사에 사용할 도자기 용품에 대한 수요가 높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백자 제기잔이 만들어졌습니다.



조선시대 제기도구 Ritual Tools from the Joseon Dynasty 1392 년부터 1897 년까지 약 500 년 사이 추정 © 2GIL29 GALLERY

조선시대의 제기도구는 전통 의식이나 제사를 위해 사용되는 도구로, 유교적 관습에 따라 선조를 기리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 도구들은 주로 나무로 제작되어 제사상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물품들을 안정적으로 올려놓거나 고정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특히 제사에 사용된 도구들은 실용성과 함께 조선시대의 엄숙한 분위기를 담고 있으며, 단순한 디자인 속에 깊은 의미와 기능성을 함께 지니고 있습니다.



조선시대 제기도구 Ritual Tools from the Joseon Dynasty 1392 년부터 1897 년까지 약 500 년 사이 추정 © 2GIL29 GALLERY


조선시대 방짜 황동 그릇 Joseon Dynasty Bangja Bronze Vessel 1392 년부터 1897 년까지 약 500 년 사이 추정 
© 2GIL29 GALLERY

조선시대 방짜 황동 그릇입니다. 방짜 황동은 전통적인 주조 기법으로, 여러 번 두드려서 만드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강도와 내구성이 높습니다. 조선시대의 방짜 황동 그릇들은 그 특유의 무게감과 은은한 광택이 특징이며, 주로 의식용 또는 일상용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그릇은 당시 사람들의 일상 속에서 쓰이기도 했고, 뛰어난 기술력과 조형미를 담고 있어 오늘날까지도 귀중하게 평가받고 있고 조선시대(1392-1897) 전반에 걸쳐 사용된 것으로, 정확한 제작 연도는 특정하기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16 세기부터 19 세기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조선시대 중기 이후 방짜 기술이 발전하면서 황동으로 만든 그릇들이 널리 보급되었으며, 특히 왕실이나 상류층에서 선호되었습니다.



조선시대 곱돌 약기, Josun Period Stone boiling Kettle for medicine 1392 년부터 1897 년까지 약 500 년 사이 추정 
© 2GIL29 GALLERY


조선시대 곱돌 약탕기, Josun Period Stone boiling Kettle for medicine 1392 년부터 1897 년까지 약 500 년 사이 추정 
© 2GIL29 GALLERY


조선시대 도마, Josun Period Cutting Board 1392 년부터 1897 년까지 약 500 년 사이 추정 © 2GIL29 GALLERY


조선시대 옹기 뚜껑 Lid of a Joseon Dynasty Onggi 1392 년부터 1897 년까지 약 500 년 사이 추정 © 2GIL29 GALLERY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