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daljin.com/author/8887
미술평론가 심현섭(b.1963)은 열린미술연구센터의 연구원으로 있으며, (주)민들레 지역디자인 대표를 역임했다. 「고든 마타-클락(Gordon Matta-Clark)의 ‘장소’의 전복」2019, 「상호소통을 통한 공동체적 방법론」 2016 등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제목 | 글쓴이 | 등록일 | 조회수 |
---|---|---|---|
박진호 / 몽유(夢遊), 꿈속에서 노닐다 | 고충환 | 2009-04 | 1839 |
성동훈 / 형식과 의식의 유목 | 고충환 | 2009-04 | 1826 |
아포리즘, 책을 통해 본 담론의 풍경 | 고충환 | 2009-04 | 1891 |
정은유 / 인체와 풍경, 존재론적 메타포 | 고충환 | 2009-04 | 2399 |
국제 판화의 흐름, 소통의 매개체로서의 판화의 진화 | 고충환 | 2009-02 | 6356 |
문정화 / 공허하고 고독하고 낯선 현대인의 초상 | 고충환 | 2009-02 | 3296 |
박종필 / 뒤범벅된 욕망과 아이러니 | 고충환 | 2009-02 | 2075 |
정재철 / 여행은 어떻게 예술이 될 수 있는가 | 고충환 | 2009-02 | 1714 |
정하응 / 가공되지 않은 소리로 삶의 질감을 연주하다 | 고충환 | 2009-02 | 2099 |
에코토피아(Ecotopia), 생태천국 | 고충환 | 2008-12 | 1538 |
2008 부산비엔날레 | 고충환 | 2008-12 | 1586 |
현대한국화의 코드, 이질성과 차이 | 고충환 | 2008-12 | 1965 |
김범수 / 패턴과 장식, 빛과 어둠을 머금은 오브제 | 고충환 | 2008-12 | 2232 |
김현수 / 개인사와 신화적 사실로 직조된 성장서사 | 고충환 | 2008-12 | 4170 |
마유카 야마모토 / 한없이 투명에 가까운 블루, 아름답고 우울한 유년의 컬러 | 고충환 | 2008-12 | 3341 |
이종미 / 주체의 흔적, 실존적 트라우마와 사회적 트라우마 | 고충환 | 2008-12 | 3368 |
최지영 / 유혹하는 오브제와 오래된 미래 | 고충환 | 2008-12 | 3028 |
정상현의 작업 | 고충환 | 2008-09 | 1651 |
김춘환의 작업 | 고충환 | 2008-09 | 1674 |
김세일의 (탈)조각 | 고충환 | 2008-09 | 1751 |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